러시아의 교육제도는 소련 시대의 교육체제를 근간으로 하여, 연방정부의 교육개혁 추진에 따라 필요한 범위내에서 유럽 등 국제표준에 근접하는 교육체계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러시아 교육은 교육의 다양화, 개별화 및 민주화를 기본원칙으로 하는 교육목표를 추구하고 있으며, 대부분 국립학교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립학교(초, 중, 고, 대학)도 설립 운영되고 있다.
러시아 교육은 일반교육(초, 중, 고교 교육, secondary education), 전문교육(initial and intermidiate education, professional)
그리고 고등교육(대학 이상, higher education) 등 세 가지 부문으로 대별되고 있다.
일반교육은 초등, 중등 교육을 포함하는 11학년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11학년 과정까지 의무무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유럽교육과의 이동성과 통합성을 높이기 위한 볼로냐 협약(서구식 학제로의 개편 또는 적용)에 러시아가 가입하고,
이행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12학년제 도입이 사실상 지연되고 있다.
전문교육은 발레(무용), 음악, 공예, 영재학교 등 다양한 분야로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예술 및 영재분야의 전문교육의 우수성은
널리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대학은 국립과 사립대학으로 구분되며, 대학은 대학 설립 허가(licensing)와 정부의 인증(accereditation) 절차를 필요로 한다.
대학생은 일정 비율(1/4-~1/3)의 의무적 장학생 선발(성적우수자와 가계 곤란자)과 함께 등록금을 납부하는 유료 학생을 선발(학생과의 계약 형식)하고 있다. 최근들어 대학의 재정수입 확보를 위해 학비의 인상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립대학들(state universities)은 국가의 부문별 인력양성.배치 계획에 의해 설립 운영되어 왔으며, 종합대학교(university)는 지역 단위로
설립.운영되어 국가.지역별 기초인력 양성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타 대부분 대학들은 단일 계열(예: 경영,공학,지질,물리,음악,체육 등)의 전문분야별로 특성화가 비교적 잘 되어 운영되고 있다.
러시어의 모든 교육기관은 9월부터 학기가 시작되어 다음에 6월에 수업을 종료하며, 여름방학 기간은 한국에 비하여 긴 편이나, 겨울방학은 짧은 편이다.
러시아 현지의 공립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인근의 학교(또는 교육청)을 방문하여 입학 정보를 수집하고 입학을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지 러시아 학교 입학을 위해서는 입학 희망학교의 교장(director)을 면담하여 입학 정원이 있는지 알아본 후,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서류는 여권 원본과 공증 여권(러시아어), 건강진단서, 출생증명서(러시아어 공증), 거주등록증 사본 및 비자 사본, 전 재학학교 성적증명서 및 재학(졸업)증명서 등이며, 러시아어 구사 능력이 낮을 경우 입학 허가를 얻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 예로 모스크바시 제1086 한민족학교(주소 : Moscow, Vedenskovo 32-A, 전화 : 7-495- 420-2311)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엄넬리(고려인 동포 지도자) 교장과 상담하여, 학년별 정원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서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 지, 학생의 능력과 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 등을 상담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